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정보

제주도 / 한라산

by 깜 냥 2024. 3. 10.
반응형

한라산 또는 한 나산(漢拏山)은 대한민국 제주도 중앙부에 있는 해발 1,947.06 m, 면적 약 1,820km 2의 화산으로, 제주도의 면적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제주시 한라산

정상에 백록담이라는 화산호가 있는데, 백록담이라는 이름은 흰 사슴이 물을 먹는 곳이라는 뜻에서 왔다고 전해진다. 산자락 곳곳에 오름 또는 악(岳)이라 부르는 다양한 크기의 측화산이 분포해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한라산은 폭발 가능성이 없는 사화산으로 알려져 왔지만 다시 폭발할 수도 있는 활화산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한라산 백록담


한국에서는 금강산, 지리산과 함께 삼신산(三神山)이라 불려 왔다.

한라산 일대는 천연보호구역으로서 천연기념물 제182호로 지정되어 있고, 1970년 3월 24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007년 6월 27일 오후(대한민국 표준시) 유네스코 제31차 세계유산위원회 총회에서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지리
제주도의 중심부에 솟아 있는 사화산으로, 제주특별자치도는 물론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는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한국(남북한 전체)에서는 59번째로 높은 산이다. 제주도의 진산이다.

전체적으로 순상화산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산정부는 종상화산의 모습을 지니고 있는 복합 화산체이다. 한라산 정상에는 지름이 약 551m에 이르는 화산호인 백록담이 있다. 산 주변으로 380여 개의 측화산이 분포하고 있다.

고도에 따라 난대성 식물에서 한대성 또는 고산식물 등 다양한 식생이 나타난다. 2007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한라산은 제주도의 전역을 지배하며, 동심원상의 등고선을 나타내어 순상화산(楯狀火山)에 속한다. 한라산은 약 360개의 측화산(側火山)과 정상부의 백록담, 해안지대의 폭포와 주상절리(柱狀節理), (다각형 기둥모양의 금) 등의 화산지형, 난대성기후의 희귀 식물 및 고도에 따른 식생대(植生帶)의 변화 등 남국적(南國的)인 정서를 짙게 풍겨 세계적인 관광지로 발전할 수 있는 자원을 갖추고 있다. 그리하여 1970년에 한라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1787년 5월 프랑스 라페루즈 제독의 함대가 제주도 남동쪽 해안을 탐사하면서 한라산의 높이를 계산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처음으로 정상에 올라 높이를 측정한 사람은 독일인 지크프리트 겐테로 1901년 가을 고종의 허락을 받아 제주도에 도착한 그는 한라산의 백록담에 올라 무수은 기압계와 고도계로 높이를 측정한 결과 1,950m였다.

자연유산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Hallasan Mountain Natural Reserve)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한라산 천연보호구역_2019년 촬영
종목 천연기념물 제182호
(1966년 10월 12일 지정)
면적 91,672,346 m2
소유  문화재청 외
관리 제주특별자치도
참고 자연유산 / 천연보호구역 / 문화 및 자연결합성 / 경관 및 과학성
위치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일원
정보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은 1966년 10월 12일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56호로 지정되었다.

남한 최고봉이자, 역사적인 영산인 한라산은 1966년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이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에 등재되었으며, 1970년 3월 24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그리고 2002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008년에는 물장오리오름 산정화구호 습지가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어 보호 관리되고 있다.

지정 사유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해발 600∼1,300m 이상의 지역과 일부 계곡 및 특수한 식물상을 가지고 있는 몇몇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한라산은 해발 1,950m로 남한에서 가장 높은 화산이다. 360개의 오름(기생화산)이 있으며, 지형은 용암의 분출에 의해 만들어졌다.

한라산은 높이에 따라 다양한 식물 분포대를 이루는데 산기슭에는 참식나무·굴거리나무·사스레피나무 등의 난대림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에는 졸참나무·서어나무·단풍나무·산벚나무 등이 자라는 온대림이 그 위로는 구상나무·고채목·향나무·시로미·암매·들쭉나무·털진달래 등의 아한대림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한라산의 정상부근에는 우리나라 특산종인 구상나무가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초원지대나 암벽지대에는 시로미·암매·복수초·구름떡쑥·참꽃나무 등 다양한 희귀 식물이 자라고 있다.

한대성과 열대성이 함께 섞여서 살고 있는 한라산의 동물은 곤충류 873종, 조류 198종, 파충류 8종, 포유류 17종 등이 있는데 이중 큰 노루·삵·무당개구리는 멸종위기에 놓여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다.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은 지형과 지질 및 식물·동물이 특이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고, 특히 보호가 필요한 많은 학술적 자료를 가지고 있어서 한라산 전체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2007년 6월 27일 제31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의 이름으로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성산일출봉천연보호구역, 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3개 천연기념물이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하였다.

"버킷리스트인 한라산 등반"을 갑자기 4월 초에 가기로 했다 설렘반, 걱정반 아자아자^^